전국 병의원 휴진
서울대병원의 무기한 휴진에 이어 18일 전국 병의원들이 대한의사협회(의협) 주도로 문을 닫았습니다. 이번 휴진은 사전에 예고된 병의원이 전체의 4%에 불과하지만, 진료를 최소화하는 등 편법적인 방법으로 휴진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일부 대학교수들도 개별적으로 휴진에 동참할 것으로 보여 상황이 심각합니다.
정부는 휴진을 주도한 의협 지도부에 집단행동 금지 교사 명령을 내리고, 의협을 공정거래위원회에 신고하며 강력 대응에 나섰습니다.
동네 의원도 휴진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이날 의협 주도로 동네 의원부터 대학병원까지 하루 휴진에 들어갑니다. 보건복지부가 집계한 결과에 따르면, 이날 진료를 쉬겠다고 한 곳은 총 3만6천371개 의료기관(의원급 중 치과·한의원 제외, 일부 병원급 포함) 중 4.02%에 불과합니다.
정부는 실제로 문을 닫는 동네 의원이 많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지만, 의협 측은 휴진 투표에서 '역대급 지지율'이 나온 만큼 더 많은 병원이 진료를 쉴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2020년 의대 증원 추진에 반발해 의협이 벌인 총파업 당시 휴진 첫날이었던 8월 14일 휴진율은 32.6%에 달했습니다. 같은 달 26일부터 28일까지 휴진율은 점차 감소했지만, 이번에는 하루만 휴진하기로 한 만큼 30% 이상의 휴진율을 기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정부는 사업자 단체인 의협이 개별 사업자인 개원의를 담합에 동원함으로써 부당하게 경쟁을 제한했다는 이유로 전날 공정거래위원회에 의협을 신고했습니다. 이에 앞서 이달 14일에는 임현택 의협 회장 등 집행부 17명에게 집단행동 및 집단행동 교사 금지 명령을 내렸습니다.
제때 진료를 받지 못할 수도 있다는 불안감 때문에 여론은 매우 싸늘합니다. 인구 1천 명당 의사 수가 1.23명으로 전국에서 의사 수가 가장 적은 세종시의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집단 휴진에 동참한 의원은 무조건 불매운동을 해야 한다"는 글이 올라왔고, 휴진을 예고한 지역 개원의들의 병원 정보를 공유하며 실망감을 표출하기도 했습니다.
이날 병원을 방문하려는 환자들은 사전에 진료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화를 이용해 ☎129(보건복지콜센터)나 ☎119(구급상황관리센터),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콜센터 등을 통해 문 여는 병의원을 찾아볼 수 있으며, 인터넷으로는 응급의료포털에서 시군구별 문 여는 병의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학병원 교수들도 휴진가능성
개원병원보다 더 큰 문제는 모든 진료 과목이 필수의료 분야라 할 수 있는 대학병원들입니다. 서울대병원에 이어 세브란스병원, 서울아산병원, 서울성모병원, 삼성서울병원 등 주요 상급종합병원 '빅5'에 소속된 일부 교수들은 이날 의협 주도 휴진에 '회원' 자격으로 개별 참여할 전망입니다.
상급 의료기관 소속인 이들이 진료를 쉴 경우 환자 피해는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서울아산병원 교수 중 60.9%(225명)는 이날 휴진하거나 연차를 내 진료를 하지 않는 등 이미 일정을 조정한 상태입니다.
다만 이번 의료 공백 사태에서 대학병원 교수들의 휴진 사례는 그동안 많지 않았고, 이번에도 대학병원 휴진이 걷잡을 수 없이 번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습니다. 수도권의 다른 대학병원들도 대규모 교수 휴진은 없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으며, 개별적으로 휴진하더라도 중증·응급 환자에 대한 진료는 유지해 환자 불편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휴진 주도한 의협, 의사총궐기대회 개최
휴진을 주도한 의협은 이날 오후 2시 서울 여의대로에서 '정부가 죽인 한국 의료, 의사들이 살려낸다'는 주제로 총궐기대회를 엽니다. 의협은 전날 낸 '대국민 호소문'에서 "의료계는 집단행동만큼은 피하고자 16일 의대 정원 증원 재논의 등 3대 대정부 요구안을 제시했지만, 정부는 이를 무참히 거부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의협을 비롯한 의료계는 집단휴진과 총궐기대회를 통해 정부의 잘못된 의료정책 추진이 국민 생명과 건강에 엄청난 위협을 초래한다는 것을 알리기로 했다"며 "휴진과 궐기대회는 의사들만의 밥그릇을 지키기 위한 것이 아니라, 정부의 잘못된 의료정책으로 의료체계가 붕괴하는 것을 막기 위한 처절한 몸부림이다. 패망 직전인 대한민국을 살릴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고 역설했습니다.
이번 휴진과 총궐기대회를 통해 정부와 의협 간의 갈등이 어떻게 해결될지 주목됩니다. 환자들은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전 확인을 철저히 해야 하며, 정부는 의료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